스파르타 코딩 클럽 수업 D+1일 차
2시에 게더타운에 모여서 수업을 시작하였다.

흥미로운 수업방식 코시국으로 많은 것이 변한 듯하다.
교실에 입장하면 매니저께서 수업의 전반적인 진행방식과 진행 사항을 전달해주었다.
그 후에 스파르타 코딩 클럽 홈페이지에 나의 수강신청 과정을 들으면 된다.
하루에 최대 8강 들을 수 있고, 처음에 통신사 인증으로 출석을 체크한다.

이렇게 0주차~5주차 까지 강의가 있고, 상단에 나의 수강 현황이 표시된다.
뭔가 게임을 하나씩 완결해 나가는 기분도 들고 재미있다.
처음에 Slack 설치와 초대를 받고~JetBrains에 가입하고 파이참(PyCharm) 프로그램을 설치하였다.
처음에 이게 무슨 프로그램인지도 모르고 강의를 보면서 해나갔다.
파이참(PyCharm)은 체코 회사 JetBrains에서 개발된 파이썬 통합개발환경(IDE)라고 한다.
IDE(Intergrated Development Enviroment)로 개발자를 위한 종합 프로그램, 개발도구 모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디자인에서 Adobe와 같은 회사가 있듯이 개발에서는 JetBrain 회사가 있다.
파이참(PyCharm) 장점
- 오류 및 빠른 수정, 간편한 프로젝트 탐색이 가능하여 시간 관리에 효율적이다.
- 코드 품질 개선으로 파이썬 코드 작성 규칙인 PEP8 검사부터 테스트, 코드 설계, 스마트 리팩토링 등 수정해준다.
파이참(PyCharm) VS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웹 퍼블리셔 업무를 하였을 때 브라켓(brackets) 혹은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였다.
이번에 파이참(PyCharm)을 처음 접해서 두 가지 다른 점을 찾아보았다.
파이참 | |
개발사 | JetBrains |
기능 | IDE |
비용 | 라이선스에따라 비용 (Community 버전 무료) (Professional 버전 유료) |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에 특화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
개발사 | Microsoft |
기능 | 소스코드 편집기 |
비용 | 무료 |
프로그래밍 언어 | HTML, CSS, JavaScript, Go, C++, Python 등 |
찾아보니 대략 이런 차이점이 있었다. 실무에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많이 사용하기에
수업 외에는 비주얼 스튜디오로 사용할 예정이다.
아마존 웹서비스 (AWS)
AWS는 아마존 자회사이고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 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다.
아마존은 e쇼핑몰 웹사이트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IT 업계에서 아마존 영향력은 크다.
그 이유는 넓은 인프라를 제공해주어 주로 개발자 엔지니어 IT 관계자가 많이 이용한다.
주력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저장공간에 접근하거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웹브라우저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이전에 비슷한 서비스가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이었다. 이들은 어떠한 차이가 있을지 찾아보았다.
들어가기 앞서 호스팅이란?
인터넷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홈페이지 정보가 저장될 서버 공간이 필요하다.
개인이나 기업에서 서버를 직접 보유하고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있기에 호스팅을 이용하여 일정기간 임대하고 관리할 수 있어
많이들 이용한다.
(업체로 Cafe24, Gabia, dothome, AWS 등등)
웹호스팅
웹 호스팅 업체들은 서버를 대신 구매하고 서버 공간을 분할해서 사용자에게 나눠준다.
웹 호스팅 업체들이 대부분 설정과 구축 환경을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따로 설치할 수 없다.
이 말의 즉슨 사용자는 인프라에 대해 잘 몰라도 웹 호스팅 업체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선택해 웹사이트 구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전공자가 간단한 개인용 웹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서 이러한 웹 호스팅 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
서버호스팅
서버 호스팅은 서버 1대를 통째로 빌려주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는 서버 호스팅과 비슷하지만 다양한 메모리나 스토리지 용량을 선택할 수 있고, 인프라 규모도 무한대로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엔지니어가 원하는 대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지만, 반대로 내부에
전문가가 없는 기업에선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버 호스팅 업체들은 컨설팅을 통해
인프라를 분석해주고 맞춤 서비스를 제안해준다.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VS 클라우드
웹호스팅 | 서버호스팅 | 클라우드 | |
사용 목적 |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 | 고정적으로 트래픽과 용량이 필요한 대규모 서비스 운영 | 잦은 트래픽 증감으로 유연한 서버 활용이 필요한 서비스 운영 |
주 사용자 | - 회사 홈페이지 운영 - 블로그 운영 - 커뮤니티 운영 |
- 대형 쇼핑몰 - ERP 운영자 - 인트라넷 운영자 |
- 웹/모바일 게임 업체 - 개발 테스트 업체 - 단발성 이벤트 업체 |
서버 이용 방식 | - 서버 임대 - 공동 사용 |
- 소보 암댜/구매 - 단독 사용 |
- 가상 서버 임대 - 단독 사용 |
초기 구축 | x | o | x |
지출 방식 | 월 정액 | 설치비 및 월정액 | 사용한 만큼 후불 |
서버 관리 권한 | - 일반 사용자용 권한 - 마음대로 조절 불가 |
- 독보적 관리자 권환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 독보적 관리자 권환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서버 관리 인력 | 필요 없음 | 필요 | 필요 |
머릿속이 뒤죽 박죽이였는데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차이점을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게 되었다.
오늘은 수업 전반적인 진행사항과 기초 코딩에 대해 배워보았다.
하루하루 배운 내용과 모르는 내용을 찾아 일지로 정리할 예정이다.